회피성 성격 장애, 회피, 무책임, 인간관계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을 일삼는 사람들 ... 가장 큰 피해를 받는 사람들은 ??

2025. 2. 27. 21:00카테고리 없음

반응형

 

회피성 성격 장애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트라우마, 우울증 같은 질환은 잘 알고 있지만, 이 명칭은 많이 들어보지는 못하였을 거예요

하지만, 우리 주위에 꼭 있는 사람들이 있는데요, 직장에서는 많이 찾아볼 수는 없지만, 20대 초 대학 생활

고등학교에는 꼭 있는 사람들입니다. "무책임" 자신이 한 행동에는 책임을 지지 않고, 나 몰라라 한 사람들입니다.

인간관계에서는 많은 나쁜 영향을 끼치는 이 사람들의 행동, 이해가 되지 않으시죠 ??

이 사람들은, 자기가 비판받는 상황을 아주 싫어 합 네다, 아니죠 극도로 무서워합 네다.

자신의 행동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화조차도 시도하지 않는데요, 비판이나 거절을 받는

상황으로 인식하기만 하면 예민해지고, 반대로 무심해지기도 하고 상대의 행동을 오해하고 쉽게 토라 지기도 합니

다. 이러한 성향은 곧 낮은 자존감으로 이어집니다.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해 아무리 좋은 성과가 있다고 하더라도

그 순간일 뿐, 자기 자신이 가장 성공적으로 하고 있는 일인데도 아주 조그마한 실수나 어긋나버림을 느끼는 순간

극도로 우울해지며 사람들에게서 멀어지고 싶어 합니다. 본능적으로, "도망가, 멀리해야 해 " 같은 대사가

머리에서 계속 맴돌며, 멀어질 때까지 사라지지 않습니다, 아니면 자신이 잘못을 한 행동에 사건 피해자가

아무렇지도 않거나, 용서를 한 경우라면 또 언제 그랬냐는 듯, 순식간에 기분이 좋아집니다.

간단히 말하면, 자신이 잘못한 행동에 대해 " 상대방의 거절, 소외"를 당하기가 싫어,

먼저 관계를 끊는 유형입니다.

자, 그럼, 이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이 가장 많은 피해를 주는 사람들이 누구일까요 ???

가족, 친구 ?? 많은 인간관계가 있지만, 이런 유 형사람 들은 또 일을 하는 직장에서는 중간 이상으로

일을 잘합니다. 그래서 직장에서는 이 질환의 특징이 도드라지지는 않습니다.

가장 피해를 준다면, 바로 자신의 배우자, 연인, 가정 아이들입니다.

 

1. 연인

회피성 성격장애, 간단히 피어스에서 "APD"라고 지칭하겠습니다.

"APD"는 회피를 일삼죠 ?? 그래서 마찰이 있을 때, 대화로 풀어야 하는 인간관계 "연인" 관계 형성에

가장 취약합니다. 이 질환을 보는 상대방은 정말 속이 터집니다, 왜냐고요 ???

마음속에 있는 말을 전혀 하지 않고 입을 꾹 다문 채로 꽁한 상태로 "나는 네가 불현 해"라는 대사를 상대에게

줍니다. 상대는 당연히 기분이 좋지 않고 무슨 일이 있는지 물어보며 관계 개선에 힘을 쏟지만 ......

상대는 오히려 도망가면서 시간이 지나 아무런 뜬금없는 상황에서 그 폭탄을 터트립니다.

상대방은 계속 관계가 지속될수록, 언제 APD가 터질지 긴장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그러면 APD가 잘못을 한 상황에서는 어떤가요 ??? 상대방은 화가 남과 동시에 답답함이 몰려오겠죠

그리고 연인 관계는 결혼하기 전 단계입니다, 당연히 반려자를 만나기가 더욱더 어려워질 겁니다.

2. 가정 (아이들)

그럼, 가정을 이루었다고 생각해 봅시다. 그러면 어떤 상황이 펼쳐질까요??? APD는 회피가 무기입니다

당장 기분이 나쁘거나 상대를 오해하거나 어떤 일이 있으면 먼저 회피를 하고, 마음속에 담아 두었다가

폭탄처럼 강하게 터트립니다, 가정에서 아이들은 하얀 '도화지' 같습니다, 이 아이들은 자신의 불안함, 뜬금없는

감정에 항상 불안함을 느끼며 부모를 피하고 항상 가정에서 압박을 받습니다. 그리고 무의식적으로, 그런 방어기제

들은 당연히 자신의 방어무기로 만들어집니다. 그러면 똑같은 일이 후손에게도 물려지겠죠, 계속 반복입니다.

아이들은 절대로 부모를 신뢰하지도 사랑하지도 않습니다, 그리고 자신이 그런 똑같은 괴물로 변해가죠

다른 사람을 사랑하지도 신뢰하지도 못합니다. 인간관계 형성과 지속이 매우 어렵습니다.

APD는 회피를 기본으로 삼아, 남과 대화하지도, 인정하지도, 사랑하지도,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항상 혼자로 지내죠. 기회가 생겨 인간관계를 형성했더라도 오래가지 않습니다.

그럼 다음 글에서, 간단한 예시 분석과 함께 치료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다음에 봬요 ~~

반응형